티스토리 뷰

요즘 한국에서 독일로 취업이민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일단 경력이 아닌 신입이나 Junior급으로 구직하는 개발자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글을 올려봅니다.


우선 비자 문제인데요,


일단은 (만 30세 미만인 경우라면)워킹홀리데이로 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워킹홀리데이도 노동비자로 인정을 받기 때문에 구직활동을 하는 기간도 노동기간으로 인정받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영주권을 얻거나 할 경우 그 기간에 대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 만 30세 이상이신 분들은, 여행비자로 입국해서 취업준비비자(독일 이외의 곳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 6개월, 독일내에서 취득한 학위의 경우 1년)를 받는 방법이나,

어학비자(최대 2년)를 받아서 구직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Blue Card의 경우 해당 분야의 학력인증이 필요합니다. (조사한 바로는 학사이상 졸업장이면 됩니다.)


다음으로 간단하게 현재 독일의 상황을 설명할게요.


현재 독일은 기본적으로 IT산업이 커지고 있는 시점입니다.

전체 구조는 한국과는 조금 달라요. 소프트웨어의 경우 대기업이 시장을 주도한다거나 대기업에 목을 매는 구조는 아니구요, 중소기업과 벤쳐가 잘 크고 보호받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독일은 연방정부 그리고 각 주 정부 차원에서 스타트업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중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한국의 엔지니어는 캐나다 엔지니어와 동일한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현재 유럽 다른 국가들로부터 독일로 많은 이민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출처  : www.hankyung.com)


이런 분위기는 유럽 경제위기가 큰 이유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독일로 몰려오는 이유는, 독일이 경제적으로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이 아닌가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유럽 국가별 이민정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http://blog.daum.net/kong-god)



또 하나, 많은 분들이 언어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 많이 물어보십니다.


일단은 영어가 가장 중요하구요. 네이티브까지는 필요 없어요,

자기 의견 전달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 이해할 수 있는 정도가 필요한거죠

(IT업계에서는 독일어 못해도 구직에 문제는 없어요.)

다들 영어로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독일어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요.

독일어 능력시험 같은 것들도 요구하지 않아요.


단지 하나 의사소통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독일어를 어느정도 배워서 간단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는 많은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와서 7개월간 독일어를 배운 후에 구직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면접을 볼 때, 면접의 시작을 독일어로 할 수 있어서 많은 이득을 보았다고 생각하구요.


다음은 실제 면접을 어떻게 보아야하는지 많이 물어보셨는데요

(이 부분은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나 그렇게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극히 제 주관적인 입장에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면접관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이 몇가지 있는데요

일단 문제가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했는가 파악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어떤 방법을 찾았는가

그리고 그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였는가, 이런 것들인데요 대부분 신입의 경우 문제 파악부터가 조금 힘들거든요.

그래서 그 다음으로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준 다음 방법을 찾아보게 합니다.

해당 분야의 지식이 없는 경우는 방법을 찾는 것조차 어렵죠 ,그럼 여러가지 방법을 알려 줍니다.

그리고 나서 이 사람이 문제를 제대로 이해했는가, 학습능력이 있는가, 그리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자세가 되어있는가, 마지막으로 나와 일 할 수 있을까를 봅니다.

실무면접은 대부분이 이렇게 진행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일단 여러 프로젝트를(크기를 떠나서) 해보면서 문제 파악 능력(설계능력을 포함합니다.)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 문제 파악능력은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같은 기본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이해하고 있어야해요. 요즘은 대부분 자바를 많이 배우고 바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메모리 관리나 메모리의 동작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다중 쓰레드를 많이 쓰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운영체제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좋은 구조를 설계하기도 문제를 파악하기도 어려우니까요.


기초가 제일 중요합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알고리즘, 자료구조, 운영체제 등등 모두 다 가장 기본적인것들을 배우는거거든요.

언어에 종속적인 표현이나 테크닉은 인터넷으로 찾으면 바로 나와요. 지금 그렇게 급하게 필요한게 아니라는 이야기죠.


두서없고 잘 정리된 글은 아니지만 아무쪼록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